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.
K-MOOC 50+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.
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.
2020-10-20
요즘 5060세대는 스스로 자신이 시니어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젊은 취향과 감각을 지니고 있다. 그들은 세대 구분이 모호해지는 에이지리스(Ageless) 시대에 시간적, 경제적 여유를 기반으로 소비생활과 여가를 즐기며 주체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키고 있다.
2020-10-20
코로나19 그리고 50+세대, 환경에 의해 불가피하게 영향 받을 수밖에 없는 불완전한 인생과 시대라는 점을 인정하고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삶을 살아갈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. 남과 비교하며 자식과 노부모 사이에서 번뇌하고 고민하는 인생이기 보다는 50+ 삶을 주체적으로 결정해서 우리 스스로 행복을 결정지을 수 있을 내재적 동기를 찾아야 한다.
2020-10-20
전 세계가 COVID-19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. 친구를 만나고, 출퇴근을 하고,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등 일상이 흐트러졌고, 그로 인해 외로움, 불안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가 늘어났다. 미국은 현재 전 세계의 코로나 확진자 1위 국가이다. 미국의 사례를 통해 COVID-19 이후의 전 세계인들의 일상 변화를 살펴보자.
2020-10-20
삶의 전환의 계기가 되는 은퇴는 하나의 사건이 아닌 일련의 과정이다. 은퇴 후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삶의 재설계에 필요한 관계의 재구조화, 시간사용에 대한 설계와 개념 변화, 일과 활동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재구조해야 하는 적응과정이 필요하다.
2020-08-24
[50+리포트 2020] 3호 v.21 <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를 위한 50+세대의 역할>
2020-08-24
지금 우리 사회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 방안으로 신중년의 사회적 자산 활용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주목하고 있다. 이를 위해 경제 성과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. 사회적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책 실행과 더불어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신중년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.
2020-08-24
새로운 사회변화와 글로벌 위기 상황 속에서 고령화는 또 하나의 화두이다.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50+세대의 경험과 전문성이다. 50+세대가 참여하는 협동조합은 정보의 공유, 협력과 상생의 조직체로서 현재의 위기에 대한 대응할 수 있는 초석일 것이다. 우리는 사회적 지원체계 결합과 정책을 통해 50+세대 협동조합의 비전과 지속적인 가능성을 확보해 나아가야 한다.
2020-08-24
2030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. 영국의 사회적 경제는 상호주의와 협력이란 경제에 원칙을 두고 있지만 각종 조사와 분석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영국 내 50+세대의 사회적 기업 창업활동은 저조하다. 이들 중 사회적 기업을 창업한 기업가들의 특성과 동기 등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50+ 사회적 기업과 50+세대의 사회적 경제 영역에 대한 참여를 위한 영국 정부의 정책을 알아본다.